지난번 글에서 근육경련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21/01/29 - [인체에 대한 공부] - 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
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근육은 수축하고 이완하는 것을 반복한다. 근육 경련은 근육이 수축했는데 어떠한 이유로 수축한 근육이 이완하지 않고 계속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일어난다. 근
pharm-story.tistory.com
이번에는 어떤 약물들이 근육경련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자.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아주 적은 확률로 일어나기 때문에 특정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이유로 근육경련이 일어날 수 있으니, 만약 약물로 인한 부작용이라 의심이 간다면 임의 중단하지 말고 의사, 약사 등 전문가에게 물어보도록 하자.

1. 이뇨제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이뇨제를 먹는 경우가 많고, 부종때문에 일시적으로 이뇨제를 먹기도 한다. 이뇨제는 신장에 작용해 수분 배출을 촉진시켜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시킨다. 그 과정에서 인, 칼슘, 마그네슘 등 미네랄도 같이 배출되고, 이는 쥐가 쉽게 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아리셉트는 치매 증상을 치료해주는 약이다. 치매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부족해지면서 나타나는 질환인데 아리셉트는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막아준다. 아세틸콜린은 뇌뿐만 아니라 근육 신경세포에도 작용하는 물질이다. 아세틸콜린이 전달되면서 근육이 수축하게 되는데, 약으로 인해 아세틸콜린의 양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근육 수축이 많이 일어나게 되고 드물게 근육 손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벤토린, 아토크, 호쿠날린패취, 암브로콜 등은 기관지의 beta-2 receptor에 작용해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골격근에도 많은 수의 beta-2 receptor가 있는데, 천식 약물들이 골격근에 직접 작용해서 근육경련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나온 연구에 의하면 beta-2 agonist가 세포로 칼륨을 끌어당겨서 저칼륨혈증을 유발하는 것과 근육경련이 관련이 있다고 한다.
4. 아달라트(nifedipine)
아달라트는 혈관 평활근에 작용해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떨어뜨리고 심장의 부담을 덜어주는 약이다. 보통은 서방형 제제인 아달라트OROS를 많이 복용한다. 근육경련을 유발하는 자세한 기전은 찾지 못했는데, 아마 혈관을 확장시키는 기전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싶다. Nifedipine은 Cacium channel blocker로 심혈관에서 칼슘이온이 근육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
5. 에비스타(raloxifene)
에비스타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복용하는 약이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물질(SERM)로 뼈에는 에스트로겐 효능제로 작용하고, 유방과 자궁내막에는 에스트로겐 길항제로 작용한다. 근육에도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존재하는데, 에스트로겐이 작용하면 근육의 질량이 늘어나고 힘이 생긴다고 한다. Raloxifene은 폐경기 여성의 근육기능을 강화시킨다는 연구결과를 찾을 수 있었다. 근육경련이 유발되는 이유는 찾지 못했지만, raloxifene으로 인한 다리 경련 부작용은 자주 있는 편이라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 같다. 3
고지혈증약인 statin계 약물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근육 통증과 근육경련이 알려져 있다. 스타틴계 약물을 복용하면 근육세포 내의 칼슘보관소에서 칼슘이 새어 나오게 만드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체적으로 조절이 가능해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일부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은 칼슘이 새어 나와 높아진 칼슘 농도로 인해 근육이 수축하고 심하면 근육세포가 손상되기도 한다.
7.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갑자기 중단했을 때의 금단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불안장애, 수면장애, 간질 등 다양하게 사용되는 약물로 자낙스(alprazolam), 리보트릴(clonazepam), 바리움(diazepam) 등이 있다.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신경세포의 GABA receptor에 작용하는데, GABA receptor가 활성화되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근육이완 작용이다. 따라서 약을 갑자기 복용 중단하게 되면 반대 작용으로 근육 수축이 과도하게 일어날 수 있다.
'약 공부 >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포사맥스, 리세넥스, 악토넬, 본비바, 졸레드론산 등) (1) | 2021.08.31 |
---|---|
엘카르니틴과 아세틸엘카르니틴의 차이점과 효능 (L-Carnitine, Acetyl-L-Carnitine) (1) | 2021.03.05 |
편두통과 일반 두통의 차이점과 편두통 치료 약물(이미그란, 나라믹, 조믹 등) (0) | 2021.02.25 |
금연보조제 '챔픽스'가 효과가 있는 이유 (+건강보험공단 금연지원사업에 대해) (0) | 2021.02.16 |
SSRI의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이유 (0)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