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공부/전문약

금연보조제 '챔픽스'가 효과가 있는 이유 (+건강보험공단 금연지원사업에 대해)

달빛약사 2021. 2. 16. 12:39
728x90

 

 

 

 

 

 

1. 금연보조제의 효과

 

  금연을 도와줄 수 있는 제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유명한 것은 Varenicline(제품명 챔픽스)이고, 항우울제 성분의 Bupropion, 그리고 니코틴 껌, 니코틴 패치 등이 있다. 보조제를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1가지 보조요법이라도 사용하면 금연에 성공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니, 금연에 시도하는 분들은 보조제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드린다.

 

  이 세가지 보조제들을 비교했을 때, 가장 성공확률이 높은 보조요법은 Varenicline이다. 니코틴 껌이나 패치를 사용하는 Nicotine Replacement Therapy(NRT)와 항우울제인 Bupropion의 효과는 비슷하고, NRT인 니코틴 껌과 패치를 같이 사용하면 둘 중에 하나만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가 뛰어나다. 연구결과가 모두 일관적이지 않지만, 두 가지 NRT 제제를 같이 사용하면 Varenicline과 비슷하게 효과적일 수도 있다고 한다.[각주:1] 금연 보조제 중 가장 효과가 뛰어나고, 국민건강보험에서 금연지원사업으로 처방하고 있는 챔픽스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2. 챔픽스(Varenicline)가 효과가 있는 이유

 

  담배에 중독이 되고 담배를 끊으면 금단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담배의 성분들 중 니코틴에 중독되었기 때문이다. 니코틴은 우리 몸으로 들어와 전신에 있는 다양한 니코틴-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에 결합을 한다. 이는 여러가지 신경 경로들을 자극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파민 분비가 늘어난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우리는 쾌감을 느끼고, 도파민을 분비하게 만든 그 행동을 계속 하도록 만든다. 담배뿐만이 아니라 술, 마약, 핸드폰 중독도 도파민을 계속 분비하려는 중독의 일종이다. 만성적으로 니코틴에 노출되면 니코틴 수용체의 민감도가 떨어지면서, 같은 농도의 도파민 분비를 지속시키기 위해 니코틴 수용체의 수가 점점 많아지게 된다. 결국 같은 양의 도파민 분비를 위해서 더 많은 양의 니코틴을 필요로 하게 되고 흡연량은 점점 늘어나게 된다.

  

  챔픽스는 니코틴이 결합하는 니코틴-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해서 크게 2가지 작용을 한다.

  1. 니코틴과 마찬가지로 니코틴-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해서 자극하지만, 니코틴보다 약하게 자극해서 도파민이 많이 분비되지 않게 한다. 니코틴을 흡입하는 것보다 만족감은 느끼지 못하더라도, 도파민 부족으로 인한 금단 증상과 욕구불만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다.

  2. 니코틴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한다. 니코틴보다 챔픽스가 수용체와의 결합력이 더 높기 때문에 니코틴에 의한 도파민이 많이 분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금연을 시도하면서 챔픽스를 같이 복용하면 금단 증상도 덜하고 담배를 피고 싶다는 생각이 덜 나게 된다. 참지 못하고 담배를 조금 피운다고 하더라고 예전과 같은 만족감을 느끼지 못해 담배를 피우려는 욕구를 줄일 수 있다.

 

 

오리지날 의약품인 '챔픽스'와 제네릭 의약품인 '노코틴에스'  출처 : 화이자제약, 한미약품

 

 

3. 챔픽스 복용법

 

  금연을 시작할 날을 먼저 정하고, 정한 날짜의 1주일 전부터 챔픽스 복용을 시작한다.

 

  복용 1일부터 3일까지 : 0.5mg 1정을 하루 1번 복용

  복용 4일부터 7일까지 : 0.5mg 1정을 하루 2번, 아침 저녁으로 복용

  복용 8일부터 종료일까지 : 1mg 1정을 하루 2번, 아침 저녁으로 복용

 

  식사 후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복용해야 한다.

  부작용으로 힘든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용량을 조절해서 복용할 수 있다. 

 

 

 

4. 부작용[각주:2]

 

  가장 빈번한 부작용으로는 위장 장애, 비정상적인 꿈, 불면, 두통 등이 있다. 특히 오심(울렁거림과 구역질)은 10명 중 3명 꼴로 가장 흔하게 나타는 부작용이다. 대부분은 부작용이 초기에 발생하였고 약을 복용하면서 점점 괜찮아졌다고 한다. 그 외에 체중 증가, 식욕 증가 또는 감소, 졸림, 기침, 변비, 설사, 가려움증, 근육통, 피로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약물의 부작용 외에 담배의 금단 현상으로 불편한 증상들이 생길 수 있다. 니코틴의 부족 때문에 느껴지는 증상들로 우울감, 불안, 분노, 집중력 저하, 심박수 감소, 식욕 증가, 체중 증가 등의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5. 건강보험공단의 금연지원사업

 

  건강보험공단에서는 2015년부터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고 금연 의지가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원 기간은 최소 8주에서 12주까지이고, 총 6회까지 상담과 금연보조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처음 1~2회 차 상담 때는 진료비와 약값의 20프로를 지불해야 하지만(대략 만원대) 금연프로그램을 끝까지 이수한 경우에는 초기에 지불했던 비용을 다시 받을 수 있으니, 거의 무료로 지원받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금연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건강보험공단 페이지를 참고.

www.nhis.or.kr/nhis/policy/wbhada21500m01.do

 

금연치료지원 < 건강프로그램 < 보험급여 < 국민건강보험 < 정책센터 | 국민건강보험

사업의 개요 흡연자의 금연 노력을 신속하게 지원하기 위해 공단 사업비 형태로 ‘금연치료 건강보험 지원사업’ 실시중 (2015.02.25.부터) 8주~12주 기간 동안 6회 이내의 진료·상담과 금연치료 의

www.nhis.or.kr

▶금연치료 의료기관을 찾아보려면 아래 사이트에서 보면 된다.

www.nhis.or.kr/nhis/healthin/retrieveSsmkMdtrMdcAdminSearch.do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

 

www.nhis.or.kr

 

  건강보험공단의 금연지원사업은 2018년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로부터 세계 금연의 날 공로상을 수상했다. WHO는 공단의 담배소송과 흡연자 금연치료 지원사업을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금연지원사업인 만큼 금연을 시도하고자 하는 많은 분들이 금연프로그램에 참여해서 금연에 성공하길 바란다.

 

 

 

  1. www.cochranelibrary.com/cdsr/doi/10.1002/14651858.CD009329.pub2/full#CD009329-sec1-0004 [본문으로]
  2. https://www.pfizer.co.kr/products/champix%C2%AEtablets-%EC%B1%94%ED%94%BD%EC%8A%A4%C2%AE%EC%A0%95 [본문으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