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편두통이란?
편두통(偏頭痛)은 그리스어 hemikranion(half skull)에서 유래한 말로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편두통의 가장 큰 특징은 편측 두통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혈관확장에서 기인한 날카로운 박동성 두통이다. 편두통은 한쪽에서만 나타날 수도 있고 머리 전체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약국에서 편두통약을 사러 온 환자분들의 대부분은 한쪽으로만 두통 증상이 나타난다는 이유로 편두통약을 달라고 하지만, 편두통이 아니라 일반 긴장성 두통인 경우가 많다. 개인이 두통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어렵겠지만, 그래도 참고하는 의미에서 편두통과 일반 두통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2. 편두통과 일반 두통의 비교 1 2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두통은 긴장성 두통이다. 스트레스 또는 나쁜 자세로 인해 흔하게 발생하고 술이나 담배, 추운 날씨 등이 원인이 돼서 발생하기도 한다. 상대적으로 편두통이나 군발성 두통에 비해 통증이 약한 경향이 있다. 긴장성 두통은 일반적으로 약국에서 소염진통제를 사용하면 통증 조절이 가능하다.
그 외에 편두통과 군발성 두통은 비교적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일반 약국에서 판매하는 약으로는 통증 조절이 어려워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통증의 형태가 긴장성 두통과는 조금 다른 형태를 보인다.
긴장성 두통 (Tension headache) |
편두통 (Migrane) |
군발성 두통 (Cluster headache) |
|
통증의 강도 | 약~강 | 중~강 | 강 |
통증의 형태 | 머리가 눌리는 듯한 통증 머리가 꽉 조이는 통증 |
찌르는 듯한 박동성 두통 신체활동을 하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
갑자기 심한 두통이 오는데 화끈거리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
통증의 위치 | 머리 어느 부위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 머리 어느 부위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 머리의 한 쪽 부분에서만 일어난다. 특히 관자놀이와 눈 주변에서 잘 일어난다. |
지속시간 | 짧게느 수 분에서 길게는 수 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 짧게는 수 시간에서 길게는 수 일간 지속되기도 한다. |
보통 30분에서 90분 정도. |
통증 외 다른 증상 | 목이나 어깨가 뻣뻣하다. | 불을 끄고 조용한 방에서 쉬고싶어 한다. 속이 울렁거리거나 구토증상이 같이 있을 수 있다. |
흥분상태가 되고 동요된 모습을 보인다. 눈이 충혈되거나 붓고, 눈물과 콧물이 많이 나기도 한다. |
전조증상 | 없다. |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
유전성 | 없다. | 유전적 원인이 크다. | 유전적 경향을 보인다. |
생리적인 원인 | 머리와 목 부분의 근육이 수축하면서 두통이 일어난다. 스트레스, 나쁜 자세 등 특정 유발원인이 있는 편이다. |
불안정한 혈관 상태로 인해 혈관이 과잉 수축했다가 반동성으로 혈관이 과하게 확장되면서 두통이 일어난다. 스트레스, 음식, 수면 부족 등 특정 유발원인이 있는 편이다. |
갑자기 확장된 혈관에 의해 얼굴과 뇌를 연결하는 삼차신경이 압박되면서 두통이 일어난다. 특정 유발원인 없이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두통이 일어난다. 주기는 사람마다 다르다. |
사용약물 | NSAIDs(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근이완제 |
NSAIDs(소염진통제) 트립탄 계열 약물 간질약, 혈압약등 |
트립탄 계열 약물 간질약, 혈압약 등 |
특정 두통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길 권한다. 뇌종양, 목디스크 등 다른 질환 때문에 두통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으니, 지속적으로 두통이 나타난다면 피검사, X-ray, MRI, CT 등 좀 더 자세한 검사를 해보기를 바란다.
만약 두통과 함께 심한 어지러움, 발열, 구토, 얼굴에 감각이 둔해짐, 말이 어눌해짐, 팔다리에 힘이 없는 증상 등이 나타나면 빨리 응급실로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3. 편두통이 오기 전 증상들과 전조 증상 3
편두통이 오기 전 하루나 이틀 전에 평소와 다른 몸의 상태가 나타나는데 이를 전구 증상이라고 한다. 식욕 증가, 우울감, 피로감, 잦은 하품, 뒷목이 뻣뻣함, 과잉 행동, 작은 자극에도 예민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그다음으로는 전조 증상(aura)이 있다. 전조 증상은 전구 증상과 같이 오기도 하고, 전조 증상이 없는 편두통도 있다. 대부분은 시각적인 전조증상을 보이는데 시야가 흐려지기도 하고 어떤 형태가 보인다던지 밝거나 어두운 점이나 빛이 보이기도 한다.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이명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얼굴이나 팔다리 등에 바늘로 약간 찌르는 듯한 가려운 감각이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말을 또박또박 명확하게 하는 것이 힘들기도 한다.
전구 증상과 전조 증상이 지나면 본격적으로 통증이 찾아온다. 전조 증상이 통증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은 보통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만큼 강한 편이고, 맥박이 뛰는 듯한 박동성 통증이 나타난다. 빛과 소리와 냄새에 매우 민감해지고 어지러워서 눕고 싶어 한다. 움직이거나 활동을 하면 통증이 더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위장 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은데 울렁거림과 구토 증상을 호소한다.
4. 편두통 치료 약물(트립탄 계열)
병원에서 주로 처방되는 편두통 약물들은 트립탄 계열 약물들이다. 이 약물들은 세로토닌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약인데, 주로 뇌혈관의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한다. 세로토닌이 분비되면 혈관염증이 가라앉고 지나치게 확장된 혈관이 수축되면서 편두통 증상이 나아진다.
- 이미그란 정, 마이그란 정, 수마트란 정, 슈그란 정 Sumatriptan
- 나라믹 정 Naratriptan
- 알모그란 정 Almotriptan
- 조믹 정 Zolmitriptan
- 미가드 정 Frovatriptan
이 외에 약국에서 일반약으로 판매되던 마이드린 캡슐과 미가펜 캡슐도 있다. 2가지 종류의 진통제와 혈관수축제인 이소메텝텐 뮤케이트가 들어있는 약인데, 안타깝게도 지금은 생산이 안돼서 구할 수 없는 약이다. 옆에 사진으로 첨부한 미가펜에스 연질캡슐은 나프록센 성분의 소염진통제이니 헷갈리지 않길 바란다.
5. 편두통 약 복용법
복용법 | |
Sumatriptan 이미그란 마이그란 수마트란 슈그란 |
편두통 발작 초기에 1정(50 mg)을 1회 복용한다. (소수의 환자들은 초기에 2정을 복용하기도 한다.) 24시간동안 총 투여량이 6정(300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약 복용 후 편두통이 재발하면, 최소 2시간 이상 간격을 두고 다시 복용 한다. |
Naratriptan |
편두통 발작 초기에 1정(2.5 mg)을 복용한다. 24시간동안 총투여량이 2정(5.0 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약 복용 후 편두통이 재발하면, 최소 4시간의 간격을 두고 다시 복용한다. |
Almotriptan 알모그란 |
편두통 발작 초기에 1정(12.5mg)을 복용한다. 24시간동안 총 투여량이 2정(25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약 복용 후 편두통이 재발하면, 최소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시 복용한다. |
Zolmitriptan 조믹 |
편두통 발작 초기에 1정(2.5mg)을 복용한다. (1정으로 효과없으면 초기에 2정을 복용하기도 한다.) 24시간동안 총 투여량이 4정(10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약 복용 후 편두통이 재발하면, 최소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시 복용한다. |
Frovatriptan 미가드 |
편두통 발작 초기에 1정(2.5mg)을 복용한다. 24시간 동안 총 투여량이 2정(5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약 복용 후 편두통이 재발하면, 최소 2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다시 복용한다. |
'약 공부 > 전문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다공증 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포사맥스, 리세넥스, 악토넬, 본비바, 졸레드론산 등) (1) | 2021.08.31 |
---|---|
엘카르니틴과 아세틸엘카르니틴의 차이점과 효능 (L-Carnitine, Acetyl-L-Carnitine) (1) | 2021.03.05 |
금연보조제 '챔픽스'가 효과가 있는 이유 (+건강보험공단 금연지원사업에 대해) (0) | 2021.02.16 |
근육경련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약물들 (0) | 2021.02.02 |
SSRI의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이유 (0)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