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 36

근육경련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약물들

지난번 글에서 근육경련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21/01/29 - [인체에 대한 공부] - 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근육은 수축하고 이완하는 것을 반복한다. 근육 경련은 근육이 수축했는데 어떠한 이유로 수축한 근육이 이완하지 않고 계속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일어난다. 근pharm-story.tistory.com 이번에는 어떤 약물들이 근육경련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자.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아주 적은 확률로 일어나기 때문에 특정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이유로 근육경련이 일어날 수 있으니, 만약 약물로 인한 부작용이라 의심이 간다..

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

우리가 몸을 움직일 때마다 근육은 수축하고 이완하는 것을 반복한다. 근육 경련은 근육이 수축했는데 어떠한 이유로 수축한 근육이 이완하지 않고 계속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일어난다. 근육을 자극하는 신경세포가 과흥분하면 근육 경련이 지속되고, 근육 경련이 지속될 때 근육에 쥐가 났다고 표현을 한다. 한번 쥐가 나면 수초 간 지속되는데 심하면 수분 간 지속되기도 한다. 주로 다리나 발, 종아리 부분에 많이 일어나고 팔이나 위장 근육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근육에 쥐가 나는 것은 겪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다. 쥐가 한번 발생하면 움직일 수가 없고 상당히 고통스럽기 때문에 쥐가 쉽게 생기는 상황을 조심하고 어떻게 예방하면 좋을지 알아보자. 1. 근육을 많이 사용 헬스, 마라톤, 축구, ..

상한론 조문 1~3조. 태양병, 중풍, 상한.

1. 太陽之爲病, 脈浮, 頭項强痛而惡寒. 태양지위병, 맥부, 두항강통이오한. 태양부위에 병이 위치하면, 맥이 부하고,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프며 오한이 있다. 한방에서는 사기(死氣)가 인체로 침입했을 때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태양, 소양, 양명, 태음, 소음, 궐음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태양'은 인체의 가장 바깥면인 피부와 기육을 뜻하고(머리와 가슴 위쪽 까지도 포함한다.) '태양병'은 사기가 피부를 통해 인체로 막 들어온 상태를 말한다. 사기가 인체의 표(表)로 들어오면, 사기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 몸에서는 정기를 보내게 되고, 사기와 정기는 표에서 정사항쟁을 벌이게 된다. 정사항쟁이 표에서 일어나면 맥이 부(浮)하게 나타난다. (만약 인체의 안쪽에서 일어난다면 침맥이 나타난다.) 표에서 ..

상한론 공부 2021.01.25

<노노콜> 소시호탕이 들어가 있는 종합감기약

약국에서 파는 종합감기약들을 보면 초기 감기에 먹을 수 있는 한약제제인 갈근탕, 소청룡탕 등이 들어가 있는 약들을 볼 수 있다. 초기 감기에 으슬으슬 춥고 어깨가 뻐근하고 쑤시고 땀은 없는 상태라면 갈근탕이 들어간 종합감기약을 먹으면 되고, 초기 코감기에 콧물이 물처럼 줄줄 흐르고 코를 풀 때마다 한가득 나오며 땀은 없는 상태라면 소청룡탕이 들어간 감기약을 먹으면 상태가 금방 호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혹시 땀이 삐질삐질 나는 분이라면, 근래에 많이 무리했거나 평소 기운이 없으신 분이라 갈근탕이나 소청룡탕 같은 발한제보다는 기운을 북돋아줘서 감기를 이길 수 있게 도와주는 쌍화탕을 권한다. 감기가 걸리고 며칠이 지나면 보통 처음과는 조금 양상이 달라진다. 한방에서는 감기가 인체안으로 조금 더 들어갔다고..

마그네슘(Mg)이 부족해지는 상황과 흡수율이 좋은 마그네슘이 들어간 일반의약품

마그네슘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미네랄 중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미네랄이다. ATP 합성을 포함하여 수백 가지의 효소가 작용하는데 마그네슘이 필요하고, 유전 물질인 DNA와 RNA를 합성하는 과정에도 필수적인 미네랄이다. 보건복지부에서 분석한 「무기질에 대한 섭취 안전성 및 기능성 평가」를 보면 우리가 평소에 섭취하는 많은 음식들에 마그네슘이 풍부하게 들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0g을 기준으로 봤을 때, 말린 미역은 780mg, 말린 멸치는 358mg, 건조 김은 297mg이 들어있는 등 해조류에 풍부하게 들어가 있고, 시금치 87mg, 깻잎 63mg, 보리 42mg 등 다른 채소들에서도 마그네슘을 섭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견과류, 생선, 과일 등에도 풍부하게 들어가 ..

SSRI의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 이유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RI)는 우울증, 불안 장애, 식욕 억제 등 다양한 질환에 쓰이는 약물이다. 푸로작, 팍실, 졸로푸트, 렉사프로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카피약이 만들어지고 있다. 뇌의 신경계에 작용하는 수면제의 경우에는 먹으면 바로 효과가 나는데 왜 우울증약은 바로 효과가 나지 않기도 하는걸까. 궁금하던 찰나에 최근 강의를 들으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뇌의 신경세포는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다. 뉴런과 뉴런 사이에는 공간(synapse)이 있고, 그 공간 사이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이 전달되면서 우리의 기분이나 감정, 수면상태 등이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된다. SSRI는 여러가지 신경전달물질 중에서 세로토닌(5-HT)과 관련된 약물이다. 시냅스 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