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좀은 곰팡이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발가락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발가락 사이는 구조적으로 폐쇄적이고 습한 환경이어서 곰팡이균이 번식하기 쉬운 부위이다. 무좀은 감염성 질환이라 목욕탕이나 수영장 등 공공장소에서 무좀균이 옮을 수 있으므로 평소 습하지 않고 청결하게 관리를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무좀이 생기면 주로 감염 부위에 각질이 생기면서 붉게 발진이 생긴다. 감염 부위가 가렵기도 하고 땀이 많이 차있는 경우에는 피부가 하얗게 짓무르기도 한다. 어떤 무좀은 수포가 생기면서 누렇게 삼출물이 나오기도 하고 심한 경우 궤양이 생기기도 한다. 또는 발바닥에 각질이 두껍게 생기고 건조하며 갈라지기도 한다.
우레아(urea)는 약국에서 단일제제로 판매되기도 하는 각질연화제이다. 피부 가장 바깥쪽의 각질을 용해시키고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서, 죽은 각질들은 떨어져나오게 만들고 그 안을 수분으로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 각질이 두꺼운 무좀의 경우에는 무좀연고와 함께 처방 나오기도 하는 약이다. 무좀약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우레아를 같이 사용하면 감염 부위로 약이 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고 무좀균의 먹이가 되는 각질을 제거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훨씬 좋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바르는 무좀약 중에 우레아가 같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 무좀 치료제가 있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해보았다.

피엠트리플크림, 터비나플러스크림, 테리나플러스크림, 테르비플러스크림 이렇게 4가지 제품을 찾을 수 있었다. 4가지 다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무좀약 1g 중 테르비나핀 10mg, 크로타미톤 50mg, 에녹솔론 5mg, 멘톨 20mg, 우레아 50mg가 들어있다. 주요 성분은 테르비나핀이다. 바르는 무좀약으로 제일 많이 사용되는 성분인데, 대표적인 약으로 라미실크림이 있다. 곰팡이균의 세포벽 형성을 방해해서 곰팡이균이 사멸하도록 만든다. 크로타미톤은 감각신경을 억제해서 피부가려움증을 완화시켜주는 성분인데 10% 크로타미톤 연고는 옴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에녹솔론은 감초에서 추출한 성분이다.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이 있고, 1% 에녹솔론은 잇몸염증에 사용하는 치약으로 나오고 있다. 멘톨은 통증 크림에 많이 사용되는 성분이다. 멘톨을 피부에 바르면 시원한 감각을 느끼게 해서 통증이 전달되는 신호를 가려서 덜 아프게 느끼도록 만든다.
무좀인데 가려움증과 통증, 각질 증상이 동반된다면 5가지 성분이 복합된 약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만약 각질이 많이 두껍고 갈라지는 각화증의 형태를 보인다면 우레아 단일 성분으로 된 함량이 높은 크림을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미 유리아 크림, 보두레아 크림 등, 1g에 200mg 우레아가 들어있다.) 발뒤꿈치가 갈라지는 각화증의 경우 무좀이 원인인 경우가 대다수라고 하니, 가려움증이나 통증 등의 증상이 없더라도 피부과를 방문해서 무좀균에 의한 것인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무좀을 치료하는 동안 지켜야 할 생활습관
1. 발과 특히 발가락 사이를 항상 건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건조하게 유지시켜주는 파우더를 사용하거나 발가락 양말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2.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는다.
3. 신발을 신고난 후 신발이 마를 수 있도록 매일 다른 신발을 신는다.
4. 여분의 양말을 들고 다니면서 발에 습기가 많이 찰 때마다 갈아 신는다.
5. 발을 씻고 난 후 드라이기 등으로 물기를 완전히 말린다.
'약 공부 > 일반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임약과 상호작용이 있어 복용 시 주의해야하는 약물들 (0) | 2021.04.12 |
---|---|
약국에서 구매하는 사전 피임약들의 특징과 세대별 정리 (머시론, 에이리스, 멜리안, 마이보라, 미뉴렛, 미니보라 등) (0) | 2021.04.01 |
용각산과 용각산 쿨과립, 비슷하지만 똑같지는 않은 기침가래약 (0) | 2021.03.24 |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반의약품-2 (레드 클로버, 경옥고) (0) | 2021.03.14 |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일반의약품-1 (승마추출물, 히페리시 제제) (0) | 2021.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