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36

스테로이드 외용제(연고, 크림 등) 강도별 분류

1.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작용 원리 '스테로이드'라는 용어는 사실 우리가 사용하는 약물인 합성 스테로이드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비타민D 등 특정 구조(4개의 이어진 고리와 탄소 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기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다. 스테로이드 구조를 가진 유기 물질 중에서 우리 몸의 부신피질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코티솔(cortisol)'이라고 하는데, 코티솔과 같은 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진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이 우리가 보통 '스테로이드'라고 부르는 약물들이다. (사진출처:위키피디아) 코티솔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저혈당일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코티솔이 분비되면 심박수가 올라가고 혈압이 올라간다. 저혈당을 벗어나기 위해 인슐린의 작용이 억제되고, 당..

[고본환정환(여명환)] 안구건조, 눈꼽끼임, 눈충혈, 눈시림 등 다양한 안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한약제제

1.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이란? 고본환정환은 다양한 안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한약제제이다. 유명한 약은 아니지만, 연세가 조금 있으신 분들 중에서 효과를 보고 꾸준히 찾는 경우가 꽤 있는 약이다. 고본환정환의 한자 뜻을 살펴보면 대강 어떤 약인지 알 수 있다. 고본(固本), 한의학에서 인체의 근본이 되는 신(腎)을 단단하게(튼튼히) 하여, 환정(還睛), 눈의 기능을 돌아오게 하는, 환(丸)으로 된 약이라는 뜻이다. 고본환정환은 명나라 시대의 의학정전과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 나오는 처방이다. 처방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체의 눈병, 내외장으로 예막(瞖膜)이 생겨 검은자위를 가린 것, 풍안(風眼), 난현풍(爛弦風), 노약자가 눈곱이 많이 끼는 것, 바람을 쏘이면 찬 눈물을 흘리는 것, 안화(眼花)..

갑상선 호르몬 약물들 정리 - 안티로이드, 메티마졸, 씬지로이드, 콤지로이드

갑상선 기능 항진증 약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이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자가면역질환이 있다. 자가면역항체가 갑상선 호르몬을 만들어내도록 수용체를 계속 자극해서 과도하게 갑상선 호르몬이 많아지게 되는 경우이다. 그 외에 일시적인 염증 때문에 갑상선 호르몬이 많아지기도 하고, 갑상선 세포가 파괴되거나 갑상선에 종양이 생기는 경우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해질 수 있다. 1. 프로필티오우라실 (Propylthiouracil) - 안티로이드 정 - 약물의 작용원리 :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을 억제한다. (요오드를 산화시켜 갑상선 호르몬을 만드는 효소(TPO)를 억제, 말초에서 불활성화 갑상선 호르몬(T4)가 활성화된 형태(T3)로 ..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과 당뇨병, 메틸글리옥살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당뇨에 대해 공부하던 중,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이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이라는 체내 포도당 대사산물 때문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메틸글리옥살에 대해 자세히 찾아보았다.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이 약으로 혈당이 잘 조절되어도 신경이나 신장 등 여러 부위에 당뇨로 인한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원인이 메틸글리옥살일 수 있다고 한다. 메틸글리옥살이란 무엇이고, 메틸글리옥살과 당뇨병의 관계, 체내 메틸글리옥살의 농도를 줄이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정리해보았다. 1.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이란? 우리 몸에 존재하는 메틸글리옥살은 대부분 체내에서 당(glucose)이 대사되면서 만들어지는 중간대사물질이다. 일부분은 가열되어 산화되거나 발효된 탄수화물, 지방 등의 음식을 ..

골다공증 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 (포사맥스, 리세넥스, 악토넬, 본비바, 졸레드론산 등)

1. 골다공증 약 bisphosphonate의 작용기전 뼈에는 골 분해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와 골 합성세포인 조골세포(Osteoblast)가 있다.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에 의해 뼈의 흡수와 형성이 주기적으로 일어나며, 두 세포가 조화롭게 활동해야 뼈가 튼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파골세포가 먼저 오래된 뼈를 분해하면, 그 부위에 조골세포가 달라붙고, 빈 공간을 칼슘 등 미네랄로 채우게 된다. 만약 조골세포에 의한 골 형성이 파골세포에 의한 뼈의 흡수보다 적으면 골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골다공증이라는 진단이 내려지게 된다. 골다공증 약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관련 약제, 부갑상선 호르몬을 조절해 조골세포의 기능을 촉진하는 약제, 파골세포의 기능을..

오은영 박사님의《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아이의 마음을 여는 말하기 연습

지은이 : 오은영 제목 : 어떻게 말해줘야 할까 그림 : 차상미 출판사 : 김영사 출간 연도 : 2020.10.25 페이지 : 총 397면 나에게 아이가 생겼다는 것을 알게 된 후, 태교를 위해 제일 먼저 떠오른 것이 오은영 박사님의 책이다. 아마 국민 육아 멘토인 오은영 박사님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을 것 같다. 오은영 박사님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이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오은영소아청소년클리닉 및 학습발달연구소 원장, 오은영아카데미 원장으로 활동하고 계신다. 평소 남편과 TV 프로그램인 '금쪽같은 내 새끼'를 챙겨보며 나의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기도 하고, 나중에 아이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겠구나 많이 배우고 있었던 터라 자연스럽게 책을 찾아보게 되었다. 《어떻게 말..

책 이야기 2021.08.26

상한론 조문 14~16. 계지가갈근탕, 태양병 오치, 계지탕을 사용하면 안되는 상황들.

14 太陽病, 項背强几几, 反汗出惡風者, 桂枝加葛根湯主之. 태양병, 항배강궤궤, 반한출오풍자, 계지가갈근탕주지. 태양병에 걸려서, 목덜미가 심하게 뻣뻣해졌는데, 반대로 땀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는 사람은, 계지가갈근탕으로 치료한다. 병사가 표부위로 들어왔는데 목덜미와 어깨 부분이 뻣뻣해지는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는 땀이 나지 않는다. 정사항쟁이 강하게 일어나서 열이 근육까지 영향을 미치고, 열로 인해 진액이 말라서 뻣뻣해지는 것이라서 보통 표실증이 많고, 뒷 조문에서도 나오겠지만 갈근탕의 대표적인 증상이기도 하다. 어깨와 목덜미가 뻣뻣한데 땀이 나고 오 풍이 있는 상황은, 기육에 진액이 부족하면서 동시에 기운이 부족한 환자라서 주리를 닫을 힘이 없는 상황이다. 사기를 이겨낼 수 있게 정기를 올려주는 계지탕에..

상한론 공부 2021.05.15

약국에서 판매하는 먹는 구내염 약들 총 비교 (리보테인, 임팩타민, 구바파, 구아내, 이바내, 오라비텐 등)

구내염이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입 안에 염증이 생긴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입 안에 상처가 난 다음에 구내염이 많이 발생하고, 그 외에 스트레스나 음식 알레르기,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 비타민과 미네랄 결핍, 호르몬 변화, 면역기능 이상 등의 이유로 생기기도 한다. 보통 둥근 형태의 하얀 궤양처럼 생겼고 주변부는 붉게 충혈되어 있다. 약국에서 판매하는 구내염 약은 크게 염증 부위에 바르는 외용제와, 상처 회복을 돕는 내복약으로 나뉜다. 즉각적으로 통증과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과는 외용제가 훨씬 빠르다. 내복약은 상처 회복을 돕고 다시 염증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외용제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여러회사에서 구내염 약이 나오고 있는데 기본적인 성분은 비타민 B군으로 비슷..

[황련해독탕] 전신의 다양한 열증(염증)에 사용하는 한약제제 (+황련해독탕이 들어간 숙취해소제)

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사회여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배고픔 없이 살아간다. 과거에는 영양부족이 문제였다면 요즘은 영양 과다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다. 영양 과다뿐만 아니라 자극적이고 기름진 음식 그리고 다양한 술과 인스턴트 음식의 증가로 인해 위염, 식도염, 피부 알레르기 등 염증성 질환이 많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과한 음주는 즉각적으로 체내 염증물질을 많이 만들어내기 때문에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 조심해야 한다.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음식 말고도 대표적으로 스트레스가 있다.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교감신경이 흥분하면서 온 몸이 긴장하고 염증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을 때 한방적으로는 특히 간담 계열과 심장이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가슴이 답답해지고..

[갈근탕/패독산] 초기 감기 몸살 근육통에 효과좋은 한약제제

갑자기 찬 바람을 쐬었거나 춥게 자고 난 다음날 몸에 한기가 들어 으슬으슬 춥고 몸이 쑤시는 경험을 한 번쯤은 다 해보았을 것이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몸을 따뜻하게 해서 땀을 조금 내면 자연스럽게 낫기도 하지만, 집에서 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약의 도움을 받아 빨리 회복할 수 있다. 양약으로는 보통 해열진통 효과가 있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이지엔 에이스 등) 성분의 약이나 이부프로펜(애드빌, 부루펜, 이지엔 애니 등) 성분의 약을 복용할 수 있다. 한약제제로는 대표적으로 갈근탕과 패독산이 있다. 갈근탕과 패독산은 한약제제 중에서는 꽤 유명한 제품이다. 한약제제만 복용해도 효과가 좋지만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 성분의 양약과 함께 복용하면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갈근탕과 패독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