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발작이 일어나는 것은 체내에서 요산 결정이 생성되면서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고, 요산 결정은 체내 요산 수치가 높은 상황에서 일어날 확률이 높다. 고요산혈증이 되는 이유는 요산이 과다하게 생성되거나 요산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고요산혈증이 되는 상황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1. 요산의 과다생성
1) 퓨린 함량이 높은 식이로 인한 요산 증가 : 맥주, 고기, 효모, 육가공품, 과식.
- 고기, 생선 종류의 음식들은 모두 퓨린 함량이 높다. 앞에 글에서 이야기했듯이 퓨린은 DNA와 RNA의 구성 성분이고, 이는 생명활동을 하는 생명체에는 모두 들어가 있다. 식물 중에도 퓨린이 많이 들어간 음식들이 있지만 식물에 포함된 풍부한 식이섬유 때문에 섭취했을 때 요산 수치를 높이지는 않는다고 한다. 고기 중에서도 특히 내장 부위인 간, 췌장, 곱창 등의 부위가 퓨린 함량이 높다.
- 맥주는 다른 술보다도 퓨린의 함량이 높은 술이다. 효모를 이용해서 발효한 술이기 때문에 그렇다. 발효주인 막걸리와 와인에도 퓨린이 조금 들어가 있는 편이고, 증류주인 소주와 양주는 퓨린 함량이 0이다. 하지만 알코올 성분 자체가 요산의 배설을 막아 체내 요산 수치를 높이기 때문에 퓨린 함량과 관계없이 통풍 환자들인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 효모는 정제되어 건강기능식품으로도 나온다. 효모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단백질 섭취도 할 수 있어 허약한 사람들에게 영양보충제로 많이 쓰이고, 탈모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판시딜, 판토가 등 탈모약으로도 생산되고 있다. 맥주와 마찬가지로 건강기능식품으로 나온 효모도 퓨린 함량이 높기 때문에 통풍 환자들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퓨린 함량이 높지 않은 음식이더라도 과식을 하게 되면 퓨린의 섭취 총량이 높아 체내 요산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식도 좋지 않다. 갑자기 음식 섭취가 줄고 수분 섭취가 줄게 되면 요산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체내 요산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퓨린 함량이 낮은 음식을 중심으로 적당한 양을 매 끼니 섭취하는 것이 좋다.
2) 퓨린을 이용하고 배출하는 주기가 빨라진 경우 : 암, 용혈성 빈혈, 건선, 화학요법.
- 암세포의 경우 세포 분열이 빠르게 일어나면서 계속 증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퓨린이 계속 이용되고 배출되면서 요산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건선의 경우 피부 세포의 주기가 짧아지면서 퓨린 배출이 많아져 요산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 많은 수의 세포가 사멸하는 경우에도 퓨린이 많이 배출되면서 요산 수치가 올라간다.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하고 파괴되는 질환인데 유전적 원인이나 자가면역반응 등의 다양한 이유로 생긴다. 암 치료 중 화학요법인 항암제의 사용도 다량의 세포가 사멸하면서 퓨린이 많이 생기게 된다.
3) 체내 퓨린의 분해가 증가 : 운동, 과당 섭취 증가.
- 운동을 과하게 하면 일부 근육세포가 파괴되면서 요산 수치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격한 운동은 땀 배출로 인한 수분 손실 때문에 요산 수치가 올라가게 된다.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면서 하는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적당한 유산소 운동은 통풍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2. 요산의 배출 불량
1) 신장 기능 손상
- 신장질환이 있으면 요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요산 수치가 올라가고, 반대로 요산 수치가 높은 상황이 신장에 부담을 줘서 신장 질환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신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신장 보호를 위해 요산 수치 관리를 잘해야 하고, 통풍 환자들은 신장기능이 떨어지지 않는지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으면서 잘 관찰해야 한다.
2) 약물로 인해 신장으로 배출되는 요산이 감소 : 이뇨제, 결핵약, 면역억제제, 아스피린 2
- 이뇨제 중 특히 loop diuretics와 thiazide계 약물들은 요산이 신장에서 재흡수되고 배출되는 통로에 작용해 요산의 배출을 억제한다. 뿐만 아니라 이뇨제를 복용하면 수분 손실 때문에 요산이 재흡수되는 양이 많아진다.
- 결핵약 중 pyrazinamide와 ethambutol은 요산의 재흡수를 촉진해서 요산 수치를 높인다.
- 면역억제제인 ciclosporin, tacrolimus는 요산의 수치를 높일 수 있다. 그래서 면역억제제를 장기 복용하는 장기이식 환자들에게서 고요산혈증과 통풍이 많이 나타난다.
- 낮은 용량의 아스피린(60-300mg)을 복용하면 요산 배출을 억제해서 고요산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 고용량을 복용하였을 때는 반대로 작용해서 요산 배출을 증가하는 작용이 있다.
통풍의 진행과정과 병리적 상황에 대해 따로 정리한 글은 아래를 눌러주세요.↓↓
2021.03.18 - [인체에 대한 공부] - 통풍(gout)의 증상과 진행과정, 통풍의 병리적 상황에 대해
통풍(gout)의 증상과 진행과정, 통풍의 병리적 상황에 대해
1. 통풍이란? 통풍(痛風)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의미 그대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질병이다. 해마다 환자 수는 늘어나고 있고 90프로 이상이 남성에게서 발병한다. 통풍은 혈액 내의 요산(
pharm-story.tistory.com
'인체와 질병에 대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틸글리옥살(methylglyoxal)과 당뇨병, 메틸글리옥살을 줄일 수 있는 방법 (0) | 2021.10.01 |
---|---|
라이 증후군(Reye's syndrome)의 증상과 특징, 진행과정 (0) | 2021.04.04 |
통풍(gout)의 증상과 진행과정, 통풍의 병리적 상황에 대해 (0) | 2021.03.18 |
일상생활에서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쥐가 나는 상황들과 예방법 (0) | 2021.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