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외용제(연고, 크림 등) 강도별 분류
1.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작용 원리
'스테로이드'라는 용어는 사실 우리가 사용하는 약물인 합성 스테로이드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비타민D 등 특정 구조(4개의 이어진 고리와 탄소 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는 유기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이다. 스테로이드 구조를 가진 유기 물질 중에서 우리 몸의 부신피질에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코티솔(cortisol)'이라고 하는데, 코티솔과 같은 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진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이 우리가 보통 '스테로이드'라고 부르는 약물들이다.
(사진출처:위키피디아)
코티솔은 스트레스 상황이나 저혈당일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코티솔이 분비되면 심박수가 올라가고 혈압이 올라간다. 저혈당을 벗어나기 위해 인슐린의 작용이 억제되고, 당신생 작용이 일어나고 글리코겐이 분해되면서 혈당이 올라간다. 또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의 분비를 억제해 전신적으로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따라서 합성 스테로이드 약물들은 알약으로 복용하면 전신적으로, 외용제로 사용하면 국소적으로 염증을 가라앉히는 작용, 면역 억제 작용, 혈관 수축 작용 등의 효과를 가진다.
2. 스테로이드 외용제 분류 1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보통 미국의 분류를 따라서 1등급에서 7등급까지 나누어서 보고 있다. 유럽 등 다른 나라들은 5단계 정도로 나눈다고 한다. 스테로이드 외용제의 강도는 모세혈관이 수축하는 정도에 따라 나누고 있으며, 1등급이 제일 강력한 작용을 가지고 있고 7등급이 제일 약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자료를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약인데, 외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지 분류표에 들어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자료마다 등급이 조금씩 다르기도 했다. 그래서 우리나라 기관인 약학정보원에서 5가지로 분류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해보기로 했다. 좀 더 많이 쓰이는, 강도가 약한 순서대로 정리해보았다. 많이 쓰이는 약은 배경색을 입혀놓았다.
성분명 | 상품명 | ||
매우 약한 제제 | 히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 더마큐 연고 락티손 에이취씨현탁액 락티케어 HC로션 락티코트 크림 로얄플러스 크림 쎄레마일드 연고 스무스케어 로션 제이알히드로코르티손 연고 케어스킨 로션 코디케어 로션 코르티카 로션 코티손 로션 큐르티손 로션 하이로손 로션, 크림 하티손 로션 히로손 로션 |
![]() |
약한 제제 |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 더마스톤지 크림 두두엔 액 두피나 액 두피엔 액 물리나 겔 물린더 겔 벌무덴쿨 겔 베로아 크림 보송 크림 삼아리도멕스 크림, 로션 캄비손소프트크림 한미 치쏙 크림 |
![]() |
중등도 제제 | 클로베타손 clobetasone | 유모베이트 크림, 연고 | ![]() |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 페리덱스 연고 덱사톱크림 |
![]() |
|
히드로코르티손 발레레이트 hydrocortisone valerate |
하이드코트 크림 | ![]() |
|
트리암시놀론 triamcinolone | 마스클린 페이스트 아비나 파스타 에코론 크림 엔딕스 크림 오라메디 연고 트리코트 크림 |
![]() |
|
강한 제제 | 베타메타손 betamethasone | 겐트리손 크림 다이보베트 연고 다이손올 연고 라벤다 크림 베데스타 크림 베타트리올 연고 새로겐타 크림 실크론지 크림 아크라손 크림 자미올 겔 칼시베타 연고 트로나인 크림 파나덤 크림 노바손 크림 더마굿 크림 데마코트에스 크림 쎼레론지 크림 쎄레스톤지 크림 |
![]() |
데속시메타손 desoximetasone | 데메타손 겔 데속시원 겔 데옥손 겔, 로션 메타파손 겔 에스파손 로션, 연고, 겔 |
![]() |
|
디플로라손 diflorasone | 디크론 크림 태썬 크림 플라손 크림 |
![]() |
|
디플루코르톨론 diflucortolone | 네리소나 연고 디푸코 연고, 크림 라파엘 크림 |
![]() |
|
디플루프레드네이트 difluprednate | 리베카 크림 | ![]() |
|
플루오시놀론 fluocinolone | 트리루마 크림 트리루스트라 크림 프리앤티 크림 |
![]() |
|
플루오시노니드 fluocinonide | 나이드 크림 라이덱스 크림 스테파론 액 엑스엘완 겔 |
![]() |
|
플루티카손 fluticasone | 큐티베이트 크림 플루티카 크림 |
![]() |
|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 methylprednisolone aceponate |
아드반탄 연고, 크림 토피솔밀크 로션 프레반탄 연고 |
![]() |
|
모메타손 mometasone | 더모타손 엠엘이 크림, 로션 더모타손 연고 더미손 크림 라벨리아 크림, 로션 메이손 크림, 로션 모리코트 연고, 크림, 로션 모메덤 크림 모멘타손 크림 모멘타 연고, 크림 모타손 크림 에로콤 크림 인푸라 크림 콜마더메타손 연고 큐메타손 크림 큐어덤 로션 크린티손 크림 테리손 크림 프레타손 크림 프로몬 연고, 크림 |
![]() |
|
프레드니카르베이트 prednicarbate* | 더마톱 연고, 크림, 액 더마폴론 로션 더모프레드 크림 더미소론 로션 락티케어제마지스 로션 베베킨 크림 베베톱 로션 베이드 연고, 크림, 로션 리도스타 크림, 로션 지오톱 크림 티티베 연고, 크림 프레드나 로션 프레드 액 프레디원 로션 프레베이 액 프레벨 연고, 액 프리베이트 크림 |
![]() |
|
가장 강한 제제 | 클로베타솔 clobetasol | 더모베이트 연고, 액 더비솔 액 도모호론 연고, 크림, 액 듀오벡스 액 베타베이트 연고, 크림, 액 스테이벤 액 코베이트 액 크러벤 액 크로베손 크림 클로벡스 로션, 액 프로솔 연고, 로션, 액 |
![]() |
할시노니드 hacinonide | 베로단 연고 |
*프레드니카르베이트는 다른 자료에서 중등도 제제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았다.
** 일반적으로 연고-크림-로션-액 제형 중에서 연고 제형이 피부 흡수가 제일 잘 돼서 약효가 세다.
3. 사용량과 사용기간, 부작용
스테로이드 외용제는 보통 하루에 1회에서 3회까지 사용하기도 한다. 외용제의 강도와 성분마다 하루에 사용 가능한 횟수가 다르기 때문에 약을 사용하기전에 설명서를 확인하거나 의사 또는 약사에게 사용횟수를 물어봐야한다. 일반적으로 강한 제제는 하루 1~2회 정도이고, 약한 제제는 하루 1~3회 정도 사용가능하다. 사용횟수 뿐만 아니라 연속으로 사용가능한 기간도 살펴보아야 한다. 보통 강한 제제들은 2주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약한 제제들은 1달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만약 지나치게 많은 양을 바르거나 오랜 기간 동안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하게 되면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피부가 위축되어 하얗게 변하거나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붉게 보일 수 있고,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피부가 오히려 자극될 수 있다. 또한 스테로이드 작용으로 염증반응과 면역반응이 억제되면서 피부 감염증이 생길 수 있다. 바꿔서 생각해보면, 세균이나 진균, 바이러스 감염이 있을 때(농가진, 포진, 무좀 등) 습진이라고 잘못 판단하여 스테로이드 외용제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을 먼저 받아야 한다.
- https://www.health.kr/searchIngredient/KPICeffect_result.asp?kpic_atc=O09 [본문으로]